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4

[금연 성공기] 10년간 태운 담배을 끊기까지 효과적으로 담배를 끊기 위한 뻔한 방법들첫째, 의지력을 강화시켜야 한다. 담배를 끊기 위해서는 강한 의지력이 필요하다. 목표를 설정하고, 담배를 끊기로 결심한 후에는 의지력을 강화하는 방법을 찾아보아야 한다. 예를 들어 명상이나 운동을 통해 스트레스를 관리하고 의지력을 키울 수 있다. 둘째, 동료들에게 지원을 요청한다. 담배를 끊는 과정에서 동료의 지원은 매우 중요하다. 가족이나 친구들에게 담배를 끊기로 한다고 알리고, 그들의 도움과 격려를 받아야 한다. 또한 담배를 끊는 사람들과 함께하는 지원 그룹에 참여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셋째, 대체품을 사용한다. 담배를 끊는 동안 니코틴 대체품을 사용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다. 니코틴 피부 패치, 니코틴 입안용가루, 니코틴 껌 등을 사용하여 천천히 .. 2024. 5. 13.
담배연기 속 유해성분은 도대체 무엇인가? 1번 질문. 담배를 피우다 끊은 사람이 주변에 있는가? 아님 당신 본인이 담배를 피우다 끊었는가?2번 질문. 이 놈의 담배를 왜 피우며, 그 안에 유해성분이라는 것이 있다는데, 그게 무엇인가? 1번 질문에 대해 말해보고자 한다.답부터 말하면 난 정확히 11년 전에 담배를 끊었다. 대학에 들어가면서 대학동기로부터 담배를 배운 후 약 10년간 피었었다. 주로 당구장에 가거나 음주할 때 많이 피고, 평상시에는 가끔 피는 정도였다. 군대에 있을 때는 말년에 너무 시간이 안 가 담배를 억지로 피웠었던 기억이 어렴풋이 난다.대학을 졸업하고 취업준비를 하다 대학원에 진학하여 전일제 학생으로 공부를 하던 도중.. 아주 가까운 혈육을 잃고 난 실의에 빠졌었다. 그때 당시 난 영양제를 이것저것 구입하며 내 삶에 대한 활력.. 2024. 3. 28.
한 사람의 삶에 늦은 것은 없다. 후회만 있을 뿐.. 한 사람의 삶에는 늦은 것투성이다. 그렇다면 과연 늦지 않은 것은 있는가? 늦었다면 후회만 하고 있을 것인가? 1. 한 사람의 삶에서 늦었다는 의미40대에 들어선 지도 언.. 4년.. 4 땡이라는 숫자를 이제는 인정해야 하겠다.옛날 어렸을 적 기억을 더듬어보면 40대면 엄청 나이가 많다고 생각되었고, 우리 아버지가 이 나이 때 난 고등학생이었다.나이는 내가 먹는다기 보다는 주변이 먹음으로써 비로소 나 자신이 인식되는 경우가 많다. 내 친한 대학후배가 벌써 40에 접어들었다는 소식에.. 난 이미 그보다 4살을 더 먹었다는 것! 그리고, 40살이 되던 해.. 소중한 두 딸을 낳아서 정말 다행이라는 것! 시간이 자연스레 두 딸의 나이를 늦게나마 먹게 해 줄 것이기 때문이다. 나는 가끔.. 아니 자주 이런 생각.. 2024. 2. 11.
"화(Anger)"를 읽고 나의 20대. 그래도 아직까지 남아있는 흔적을 찾았다. 바로 군대생활을 할 때 작성했던 독후감이다. 군복무동안 난 국방일보의 독후감대회에 참가하여 나름.. 1등이란 실적을 거두웠다. 그 당시 행정보급관이셨던 원사께서 중대행정실로 전화해서.. "혹시 국방일보에 실렸던 독후감대회에 참가하였나?" 물으셨고, "축하한다."는 말씀을 해주셨다. 난 1등 상품.. 그 때 당시는 꽤 핫했던 '올림푸스 디지털카메라'를 상품으로 받았다.글쓰기라면 그 당시 왕성했던 다음 메일쓰기를 꽤 자주 이용했다는 것 빼고는.. 나의 글쓰기 실력을 가늠하기 어려웠는데 이 일을 계기로 그래도 글쓰는 게 나쁘진 않구나라는 약간의 자신감을 갖게 되었다. 사실 GOP에서 군복무를 하면서 지루한 시간을 보내기 위한 나만의 전략이 글쓰기였던 것이.. 2024. 1. 21.
나의 20대, 30대, 40대 나의 20대 직장생활내 직장생활은 사실 20대에는 없었다고 보는 게 맞을 수도 있다. 왜냐하면 26살에 졸업해서, 1년은 학원강사, 3년은 대학교 조교를 하면서 20대를 넘겼다. 남들(?)과는 다르게 그렇게 치열했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왜 그런가?이제와 생각해 보면 난 지방대를 나왔다. 국립대라고는 하지만 여하튼 지방대이다. 당연히 힘들었을 수도 있는데 20대 때 안 힘든 사람이 어디 있겠는가? 여러 가지 이유로 힘든 것이 20대이고, 20대에 힘들다는 것은 어쩌면 보편적인 이야기이기도 하다.임용고사 시험에 떨어져 졸업과 동시에 학원강사가 되었고, 밤늦게까지 수업을 하는데도 경제적으로 나아지지 않았다. 우연찮게 모교 학과에서 조교를 뽑는다고 하여 운 좋게 조교가 되었고 3년 동안 마음은 모르겠지만 육체.. 2024. 1. 21.